주식/테마와 섹터

유리기판이 주목받는 이유

주카이 2025. 5. 27. 21:47
반응형

유리기판 테마 유리기판 관련주 유리기판이란


유리기판 산업, 미래 산업의 핵심 소재로 떠오르다

최근 반도체, 디스플레이, 전기차 등 첨단 산업을 이야기할 때 빠지지 않는 키워드가 있습니다. 바로 **‘유리기판(Glass Substrate)’**입니다. 한때는 디스플레이 소재 정도로만 여겨졌던 이 유리판이, 이제는 AI 반도체와 고성능 컴퓨팅(HPC)의 핵심 소재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유리기판이란 무엇인가?

유리기판은 초평탄·고강도·고정밀 유리판으로, 기존 플라스틱 계열의 유기기판이나 세라믹 기판보다 훨씬 뛰어난 전기적·기계적 특성을 가집니다. 덕분에 AI 반도체나 고성능 칩에서 요구되는 나노 단위 미세 회로 구현이 가능하며, 고온 환경에서도 안정성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유리기판의 5가지 핵심 특징

  • 초평탄 표면: 나노미터 단위의 초미세 회로 구현 가능
  • 뛰어난 열 안정성: 고온에서도 기판 변형 최소화
  • 우수한 전기 절연 특성: 낮은 유전 손실, 고속 신호 전송에 유리
  • 내화학성·내구성: 외부 환경과 화학물질에 강함
  • 다양한 적용처: 반도체 패키징, OLED·LCD, 전기차 디스플레이, 태양광 패널 등

산업 성장의 파도, 유리기판이 타고 있다

유리기판 산업은 현재 폭발적인 성장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시장조사기관 인사이트 파트너스에 따르면,

  • 2024년 153억 달러였던 시장은
  • 2030년에는 215억 달러까지 성장하며
  • **연평균 성장률(CAGR)은 5.73%**에 달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특히 디스플레이용 유리기판 시장은
2023년 257억 달러에서 2030년에는 584억 달러까지 2배 이상 커질 것으로 예측되고 있습니다.


유리기판의 수요를 이끄는 4대 동력

  1. AI 반도체 및 고성능 칩 패키징
    기존 유기기판의 발열과 집적도 한계를 극복하며, 초고속 신호 전송과 고집적 설계를 실현합니다.
  2. 차세대 디스플레이
    고해상도·대형·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수요 증가. 유리기판은 이러한 폼팩터 구현에 최적의 소재입니다.
  3. 재생에너지 산업 확산
    태양광 패널과 전기차 확산으로 고효율·고내구성 기판 수요 확대
  4. 자동차·모빌리티 혁신
    전기차 및 자율주행차 내부 대형 디스플레이, 센서, 카메라 등에 채택 확대

세계는 지금, 유리기판 패권경쟁 중

🔧 최근 주요 기업들의 행보

  • 삼성전기: 세종사업장에 시제품 생산 라인 구축, 2025년 양산 목표
  • SKC·앱솔릭스: 美 조지아주에 유리기판 공장 완공, 2026년 상용화 추진
  • LG이노텍: 구미공장에 유리기판 및 FC-BGA 생산라인 대규모 투자
  • 인텔·엔비디아·AMD: 2025년 이후 자사 칩에 유리기판 도입 계획 발표

주요 기업 및 기술 보유 현황

기업명 기술 및 진행 상황

삼성전기 코닝·YMT·이노메트리와 협력, 2025년 시제품
SKC/앱솔릭스 AMAT와 협력, 2026년 美 생산라인 가동 예정
LG이노텍 FC-BGA와 유리기판 병행 개발
인텔 2030년 상용화 목표, 일부 칩은 2025년부터 도입
코닝(Corning) 초평탄 유리 원재료 공급 글로벌 리더
AGC/NEG/Hoya 프리미엄 유리기판 기술 확보, OLED·반도체 특화
KCC글라스 국산화 연구 진행, 정부과제 수주
이노메트리 검사 및 품질관리 솔루션 제공
YMT 유리기판 전용 화학소재 개발

결론: 유리기판은 단순한 부품이 아니다

유리기판은 향후 10년간 AI·디스플레이·전기차 산업의 판도를 바꿀 소재입니다.
삼성전기·SKC·LG이노텍 등 국내 기업들과
인텔·엔비디아·코닝 등 글로벌 리더들이
유리기판의 상용화에 사활을 걸고 경쟁하고 있는 이유입니다.

기술 혁신, 친환경성, 대량생산 체계 확보.
이 세 가지를 먼저 완성하는 기업이 차세대 반도체 패키징 시장의 승자가 될 것입니다.

반응형